인공지능이 활용되는 분야별로 대표성을 띈 사례들을 한가지 씩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콘텐츠, 그리고 모빌리티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넷플릭스와 우버의 사례를 통해 정리해보록 하겠다.
콘텐츠 분야 - 넷플릭스
넷플릭스는 모두 잘 알고 계신 것 처럼 미국의 주문형 콘텐츠 서비스 제작 기업이다.
예전 블록버스터와 비디오와 DVD를 우편으로 배달하던 업체에서 시작해서 지금은 미국 최대의 VoD업체, 그리고 콘텐츠 제작사가 되었다. 2017년에 전세계 기준 이용자수 1억명을 넘어섰으며, 국내에서도 넷플릭스 유료 가입자가 2019년 6월기준, 184만명이 되었다고 한다. (1년 만에 192%의 성장율..)
이런 넷플릭스가 성장하는데는 방대한 콘텐츠, 넷플릭스 오리지널, 편리한 UX가 일조했다고 생각하지만.
그 외에도 넷플릭스의 추천 알고리즘이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넷플릭스를 사용해보신 분들은 아마도 느끼셨겠지만, 생각보다 내 취향을 정확히 알고 추천을 한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넷플릭스가 추천시스템에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과 '내용기반 필터링(content based filtering)' 을 조합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모빌리티 분야 - Uber
차량 공유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Uber 역시 인공지능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고, 이를 통해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업체이다.
우선 정확한 예측시간, 그리고 기사의 얼굴인식, 마지막으로 호출하는 고객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특허출원까지 다양한 사례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고 있다. (우버는 IT기업으로 불리고 있는 이유가 있는 듯 하다.)
우선 Uber는 미켈란젤로라고 불리는 자체 머신러닝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다.
미켈란젤로는 (정말 르네상스 시대, 천지창조를 그린 사람에게서 모티브를 따온 것과 같이) 사내 누구든 머신러닝 시스템을 확장성 있게 만들고 또 동작시킬 수 있는 플랫폼이라고 한다.
이 미켈란젤로 머신러닝 플랫폼을 통해, 우버는 목적지까지의 도착시간을, 우버풀 서비스에서는 카풀할 사용자들의 효율적인 경로를 계산해주고, 우버이츠에서는 주문부터 음식이 주문, 또 음식적 픽업, 고객의 집까지 배달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고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