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The Validity of the Stimulated Retrospective Think-
Method as Measured by Eye Tracking
CONCLUSIONS AND FUTURE WORK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imulated retrospective think aloud (RTA).
이 연구에서, 우리는 실험되어진 RTA의 유효성과 신뢰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Our study supported the validity of stimulated RTA in that
people’s recounting of what went on in their task
performance describes the same sequence of objects in the
same order as what they attended to during the original task
performance.
우리 연구는 그들이 실제 태스크를 실행하는 동안 참석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순서로 그들의 행동을 묘사했다는 데에서 RTA의 유효성을 지지했다.
Our study also shows that the validity of the
RTA doesn’t vary with different levels of task complexity.
우리 연구는 또한 RTA의 유효성은 복잡한 태스크의 다른 수준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any field that uses RTA to
collect user’s performance information.
이 발견들은 사용자들의 행동정보를 수집하는데 RTA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logic inference and strategy
explanation information in people’s verbalization also
provide valid information about users’ task performance.
이 연구는 또한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논리적인 간섭과 전략적인 설명정보는 사람들의 태스크 퍼포먼스에 대하여 유효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inferential and explanatory information can indicate
how information was processed and clarify what specific
strategies people used to complete tasks in a usability study.
간섭적이고 설명적인 정보는 사용성 테스트에서 어떻게 정보가 진행이 되고 구체적 전략적인 사람들이 태스크를 완료하는 지에 대하여 알려줄 수 있다.
Usability evaluators can use this information to assess
whether a product or interface is successful in supporting
users in doing the tasks it is designed for and to identify
what parts of the design negatively affect user’s behavior.
사용성 평가자는 제품이나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의 일부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를 지원하는데 성공적인지 아닌지 접근하는데 이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Two case analyses about omissions in the verbal report
show that, in general, in instances when users were
struggling to complete tasks, the verbal reports provide low
density and high abstract level information. Such patterns
could be used as a valid indication of problems in a
usability study.
verbal 레포트에서 생략에 대한 2가지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애를쓸때 verbal레포트는
1. 낮은 숙명(정확한 정보인듯..)과
2. 높은 추상적인 수준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패턴들은 사용성테스트에서 유효한 문제들의 암시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다.
The results and findings presented in the paper are
preliminary work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validity of
stimulated RTA.
Future works can be done following two
trends. One is to design an advanced algorithm to extract
high level information from ET, so that it could be used to
compare with high level verbalization. Second is to study
how a specific dimension of task complexity affects the
degree of omission found in people’s retrospective
verbalization.
이 논문에서 결과와 발견들은 모의 RTA의 기본적인 유효성을 확랍하는 작업이었다.
앞으로의 작업은 2가지 트렌트를 따라 진행되어질 수 있다.
하나는 아이트래커로 부터 높은 수준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더 나은 알고리즘을 디자인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verbalization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로는 어떻게 복잡한 태스크의 구체적인 디멘젼이 사람들의 회고적인 verbalization에서 찾아낸 생략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것인지에 대한 연구이다.
(대충 대충 해석하려니,, 그래도 이해는 가실것으로 생각합니다.
자세한 본문은 아래 논문을 확인해 주세요.)
Method as Measured by Eye Tracking
CONCLUSIONS AND FUTURE WORK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imulated retrospective think aloud (RTA).
이 연구에서, 우리는 실험되어진 RTA의 유효성과 신뢰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Our study supported the validity of stimulated RTA in that
people’s recounting of what went on in their task
performance describes the same sequence of objects in the
same order as what they attended to during the original task
performance.
우리 연구는 그들이 실제 태스크를 실행하는 동안 참석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순서로 그들의 행동을 묘사했다는 데에서 RTA의 유효성을 지지했다.
Our study also shows that the validity of the
RTA doesn’t vary with different levels of task complexity.
우리 연구는 또한 RTA의 유효성은 복잡한 태스크의 다른 수준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any field that uses RTA to
collect user’s performance information.
이 발견들은 사용자들의 행동정보를 수집하는데 RTA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logic inference and strategy
explanation information in people’s verbalization also
provide valid information about users’ task performance.
이 연구는 또한 사람들이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논리적인 간섭과 전략적인 설명정보는 사람들의 태스크 퍼포먼스에 대하여 유효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inferential and explanatory information can indicate
how information was processed and clarify what specific
strategies people used to complete tasks in a usability study.
간섭적이고 설명적인 정보는 사용성 테스트에서 어떻게 정보가 진행이 되고 구체적 전략적인 사람들이 태스크를 완료하는 지에 대하여 알려줄 수 있다.
Usability evaluators can use this information to assess
whether a product or interface is successful in supporting
users in doing the tasks it is designed for and to identify
what parts of the design negatively affect user’s behavior.
사용성 평가자는 제품이나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의 행동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의 일부인 것을 확인하기 위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를 지원하는데 성공적인지 아닌지 접근하는데 이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Two case analyses about omissions in the verbal report
show that, in general, in instances when users were
struggling to complete tasks, the verbal reports provide low
density and high abstract level information. Such patterns
could be used as a valid indication of problems in a
usability study.
verbal 레포트에서 생략에 대한 2가지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것들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태스크를 완료하기 위해 애를쓸때 verbal레포트는
1. 낮은 숙명(정확한 정보인듯..)과
2. 높은 추상적인 수준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패턴들은 사용성테스트에서 유효한 문제들의 암시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다.
The results and findings presented in the paper are
preliminary work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validity of
stimulated RTA.
Future works can be done following two
trends. One is to design an advanced algorithm to extract
high level information from ET, so that it could be used to
compare with high level verbalization. Second is to study
how a specific dimension of task complexity affects the
degree of omission found in people’s retrospective
verbalization.
이 논문에서 결과와 발견들은 모의 RTA의 기본적인 유효성을 확랍하는 작업이었다.
앞으로의 작업은 2가지 트렌트를 따라 진행되어질 수 있다.
하나는 아이트래커로 부터 높은 수준의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더 나은 알고리즘을 디자인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verbalization과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두번째로는 어떻게 복잡한 태스크의 구체적인 디멘젼이 사람들의 회고적인 verbalization에서 찾아낸 생략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것인지에 대한 연구이다.
(대충 대충 해석하려니,, 그래도 이해는 가실것으로 생각합니다.
자세한 본문은 아래 논문을 확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