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HIG 4iphone] 1. A brief tour of the application user interface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4iPhone A brief tour of the application user interface - Application screens and their contents(어플 스크린과 컨텐츠) - Using views and controls in application screens(어플스크린에서 뷰와 컨트롤 이용) ■ Users are accustomed to the look and behavior of standard views and controls. When you use familiar user interface elements, users can depend on their prior experience to help them as they .. 더보기
Ideo UX case study Ideo UX Example 더보기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4iPhone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4iPhone A brief tour of the application user interface - Application screens and their contents(어플 스크린과 컨텐츠) - Using views and controls in application screens(어플스크린에서 뷰와 컨트롤 이용) Navigation Bars, Tab Bars, Toolbars, and the Status Bar - The Status Bar - Nabigation Bars - Toolbars (below 5 item recommended, 44x44) (어플에서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많은 액션을 제공하는 경우 툴바를 제공하라.) - Tabbars .. 더보기
[Apple] Microsoft Re-Designs the iPod Packaging 정말 공감가는 영상. 어떻게 이렇게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지. 역시 Apple의 디자인에 다시한번 감동한다. 더보기
[Progressive disclosure] A smart country list 출처: http://justaddwater.dk/2006/06/22/form-usability-country/ Form usability: A smart country list Here is an example of a smart country selector. From installation of an Ipod Nano. The usability principle is called progressive disclosure: First, display the most typical settings, then give the ability to show all in the special cases. Several things I like with this approach: Progressive disclo.. 더보기
[인공지능] Aawoo.com http://blog.daum.net/hohobabyp/6615722 더보기
[Mobile UX] Samsung Life Diary 참조: http://aving.net/kr/ Samsung Life Diary.. 이전 회사에서도 거의 동일한 컨셉의 서비스를 기획했었는데, 중간에 무산이되고 말았었다.. 역시 삼성. 이렇게 상상에서만 그치지 않고 시제품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재력과 근성- 다른 부서는 아직 잘 모르겠지만 Mobile사업부의 경우 정말 감동스럽다.. 사용자들이 원하고 기존에 하고있던 경험들을 보다 쉽고 Rich UI를 통해 풍부히 보여주는 것 같아 마음에 든다. 물론, 휴대폰안의 사진은 이통사 DB로 자동전송하고 있겠지? 더보기
[Mobile UI] Samsung ADIDAS Phone 삼성에서 Nike+ iPod을 겨냥해 출시한 ADIDAS Phone! 가슴에 Heartbeat을 측정하는 악세서리를 착용해야 하지만, 생각보다는 간소화되어있고 이전의 Yepp sports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실패를 본보기삼아 사용자들에게 훨씬 나아진 UX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뭐, 시간이 그렇게 흘렀으니-) 악세서리 착용 자체가 불편하다는 사용자들의 불만사항도 분명히 있었을 텐데, 어떻게 그 불편함을 극복하고 제품이 나올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휴대폰의 첫번째 Goal인 휴대성이라는 것과 특화된 기능 사이에서 분명히 고민을 했을텐데, 이런 제품이 나온 것으로 보면 분명히 기능성 보다 사용자들의 요구성이 더 컸기 때문이겠지? 그러길 바란다. 더보기